본문 바로가기

주식경제

트황 vs 시황, 누가 이길까? - ③ 한국은 줄타기를 넘어설 수 있을까?

728x90
반응형

트황 vs 시황, 누가 이길까? - ③ 한국은 줄타기를 넘어설 수 있을까?

 

미국은 고비율의 관세 카드를 꺼냈고, 중국은 기술로 팽팽하게 맞서는 상황입니다. 그 가운데 한국은 여전히 눈치 게임 중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대로 줄타기만 계속하는 건 더 이상 위험합니다. 2025년, 한국은 전략적 전환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요동치는 국내 주식 시장의 핵심에는, 강력한 차기 대선 후보의 경제 비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 한국 경제는 지금 어디쯤 왔나?

정보통신신문

✔️ 흔들리는 수출, 약해진 제조

  • 對중국 수출 감소, 對미국 관세 리스크 확대
  • 반도체 업황 회복 지연
  • 자동차, 2차전지, 조선은 상대적 선방

✔️  환율·무역수지 불안

  •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
  • 에너지 수입 부담 지속
  • 무역수지 흑자는 방산·조선 의존도 ↑

지금 한국은 대외 변수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데이터솜


☑️ 줄타기를 넘어선 전략은 가능한가?

그동안 한국은 미중 갈등 속에서 ‘중립 외교’, ‘양다리 전략’으로 불리던 줄타기 외교를 펼쳐왔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관세 전쟁은 단순한 무역 문제가 아닙니다.

  • 달러와 위안화의 패권 충돌
  • 기술 전쟁 (반도체, AI)
  • 자원 전쟁 (희토류, 배터리)
  • 안보 전선 (대만, 남중국해, 한반도 주변)

즉, 한국은 이제 단순한 “수출 다변화”가 아니라, 국가 전략을 새로 짜야 할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반응형

☑️ 이재명 후보의 ‘K-이니셔티브’, 새 비전이 될 수 있을까?

이재명TV

 

2025년 6월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줄타기 외교' 를 넘어 "한국이 판을 주도하는 전략국가가 돼야 한다" 고 선언했습니다.

✔️ 핵심 공약 요약

공약 내용 설명
K-이니셔티브 대한민국이 세계 질서의 ‘퍼스트 무버’로 전환 (주도국 전략)
AI 기본사회 한국형 챗GPT 전 국민 무료 제공 / AI를 국가 인프라로
국부 펀드(K-엔비디아 펀드) 민관 합작 펀드로 AI 반도체·첨단 제조 산업에 선도 투자
수출 구조 다변화 동남아·중동·EU 중심의 신시장 개척 강화

이 전략은 단순한 기술·경제 공약이 아니라, 관세전쟁을 넘는 새로운 경제 생태계 주도권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산업별 전략, 어떻게 바꿔야 하나?

1️⃣ 반도체: 초격차에서 인공지능화로

  • 미국 제재 강화, 중국 내 생산 리스크 확대 → 국내 생산 고도화 + AI 반도체 개발 중심 전략 필요
  • 유망 주제: HBM, 데이터센터 칩, AI 연산 최적화 솔루션

2️⃣ 2차전지·전기차: 미국 중심 탈중국화 수혜

  • IRA 수혜를 받으려면 북미 지역 현지화 확대 필수
  • 동시에 중국 의존 원자재 공급망 리스크도 축소 필요
  • 유망 주제: 고성능 양극재, 북미 현지 배터리 생산, 리튬·니켈 등 원자재 내재화 전략

3️⃣ 조선·방산: 관세 무풍지대 속 확실한 성장 축

  • 러-우 전쟁, 중동 무기 수요 확대 → K-방산 수출 지속 확대
  • 고부가 LNG선 중심의 조선업 → 친환경선 수요 급증
  • 유망 주제: 스마트 함정, 자주포·전투기 수출 플랫폼, 탈탄소 고효율 선박

4️⃣ 콘텐츠·AI: K-브랜드의 글로벌 전략 자산화

  • 이재명 후보의 K-콘텐츠 육성 정책은 소프트파워 강화와 연결
  • 메타휴먼, 게임, 웹툰, OTT 콘텐츠 수출 → 브랜드 국부화 전략 추진
  • 유망 주제: AI 기반 실감형 콘텐츠, 글로벌 웹툰 IP, 창작형 생성AI 플랫폼

☑️ 'K-이니셔티브' 대표 수혜 종목

[반도체] 초격차 → 인공지능화
항목 주요 키워드 대표 종목
AI 반도체 HBM, AI 연산 최적화 SK하이닉스 (AI용 HBM 세계 선도)
데이터센터 칩 AI 서버용 SoC 리노공업, DB하이텍 (전력 반도체 관련)
장비·소재 패키징, 고속인터커넥트 한미반도체, 와이아이케이, 테스나
[2차전지·전기차] 북미 현지화 + 원자재 안정화
배터리 셀 IRA 수혜·북미 투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양극재·소재 고성능 소재 경쟁력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공급망 안정화 니켈·리튬·전구체 고려아연, 일진머티리얼즈
[조선·방산] 무풍지대 + 글로벌 수요 확대
방위산업 K2·K9·FA-50 수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함정·전투기 해군·공군 중심 확장 한국항공우주(KAI), 한화시스템
조선·LNG선 고부가·친환경 선박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콘텐츠·AI] 소프트파워의 산업화
웹툰·스토리 IP 글로벌 IP 확장 키다리스튜디오, 대원미디어
게임·메타버스 실감형 콘텐츠 엔씨소프트, 넥슨게임즈, 펄어비스
AI 콘텐츠 생성형 AI, 제작 솔루션 씨이랩, 알체라, 퓨런티어, 솔트룩스
OTT 연계 K-드라마 글로벌 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 콘텐트리중앙
728x90

 

☑️ 관세 전쟁 대표 수혜 종목

미중 관세 전쟁 때문에 한국 산업 전체가 피해를 보는 것은 아닙니다.

수혜를 입는 종목도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방산과 조선은 국내 상황이나 관세와는 별개로 강력한 파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방산과 조선은 ['K-이니셔티브' 대표 수혜 종목] 에서 다루었으니 두 종목을 제외한 화장품과 식품 분야를 소개할게요. 

✔️ 한국 화장품 산업 – 중국 리오프닝 & K-뷰티 소프트파워 수혜

✨ 수혜 요인

  • 중국 소비시장 반등 조짐 (한한령 완화 가능성)
  • ‘한국산은 안전하다’는 브랜드 이미지
  • 이재명 후보의 K-콘텐츠·K-뷰티 전략 강화 공약 연계 가능성
  • 관세 우회 수출을 통한 이익 개선 기대

✨ 대표 수혜주

종목명 특징
LG생활건강 중국 프리미엄 브랜드 ‘후’, ‘숨’ 보유. 리오프닝 최대 수혜주
아모레퍼시픽 면세점·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 중저가~중고가 라인 다수
클리오 동남아·중국 온라인 플랫폼 공략 강화. 젊은 소비층에 인기
한국콜마 글로벌 화장품 OEM/ODM 최대주자. 중국 내 현지 파트너 확대

 

 

✔️ 한국 식품 산업 – 중국·동남아 시장 확대, 식량안보 이슈 수혜

✨ 수혜 요인

  • 미국 · 중국 내 한식 인기 지속 (편의식·라면·간편식 중심)
  • 관세 이슈로 현지 생산·OEM 강화 기업이 경쟁력 확보
  • K-식품 글로벌화 전략 + 물가 안정 정책 수혜

✨ 대표 수혜주

종목명 특징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수출 효자 상품. 미국·동남아 온라인 수요 폭발
CJ제일제당 햇반, 비비고로 중국·미국 매출 급증. 글로벌 식품 수출 1위
오리온 중국과 베트남에서 매출 비중 높음. 현지 공장 보유
농심 신라면 글로벌 브랜드화. 북미·중국 라면 시장 고성장 지속
SPC삼립 글로벌 베이커리 OEM. 중국·동남아 진출 확대 중

☑️ 외교와 경제는 분리되지 않는다

이후보는 줄타기 외교를 넘어 “대한민국은 선택받는 나라가 아니라, 선택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고 강조합니다.

  • 기술 패권 → AI 인프라
  • 자원 전쟁 → 에너지 전략 동맹
  • 문화 주도권 → K-소프트파워

즉, 정치와 외교, 산업 전략이 하나의 비전으로 통합돼야 진짜 ‘줄타기에서 벗어난 대한민국’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트황 vs 시황, 누가 이길까?

- 관세전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줄타기만으로는 더 이상 생존하기 어렵다.
- 이재명의 ‘K-이니셔티브’는 외교·기술·문화·산업을 연결하는 통합 전략이다.
- AI, 반도체, 콘텐츠, 방산 등 분야별 강점을 살려 ‘퍼스트 무버 국가’로 전환할 때다.

 

미국은 다시 관세를 무기로 꺼내 들며 자국 제조업과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 하고, 중국은 기술 자립과 내수 전략으로 관세를 견디며 기회로 바꾸는 중입니다.

 

관세 전쟁은 과거와 달리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기술, 금융, 안보, 그리고 글로벌 질서 재편까지 걸린 총력전이 되었습니다.

한국은 더 이상 줄타기로는 생존이 어렵습니다. 정치, 외교, 산업, 기술이 하나로 통합된 ‘전략국가 모델’ 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금은 어느 편에 설 것인가보다, 우리의 주도권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더 중요합니다.

AI, 반도체, 방산, 콘텐츠 등 우리가 강한 분야부터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 미중 사이에서 흔들리는 나라가 아닌, 판을 그리는 나라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이전 시리즈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digitalfreeman.tistory.com/38

 

트황 vs 시황, 누가 이길까? - ① 왜 미국은 중국에 관세를 때렸을까?

요즘 미국 주식시장 때문에 많은 분들이 울고 계실텐데, AI 기대감으로 올랐던 기술주도 탄탄하던 소비주도 최근 들어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세계 시

dino.mojaestudio.com

https://digitalfreeman.tistory.com/39

 

트황 vs 시황, 누가 이길까? - ② 중국은 과연 버틸 수 있을까

미중 무역전쟁, 그 중심에 '관세'가 있습니다.하지만 이 전쟁은 단지 세금 몇 %를 올리고 말 문제가 아닙니다. 진짜 싸움은 더 깊고, 더 무섭고, 더 오래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처음엔 “미국이

dino.mojaestudio.com

 

📌 더 많은 경제·투자 정보가 궁금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 주세요!

 

https://www.gamsgo.com/share/kNSHG

GamsGo

 

728x90
300x250